Contents
📖[비상식적 성공법칙] -저자:간다 마사노리, 옮긴이: 서승범-
- 목차 -
제8 습관 | 성공에는 빛과 그림자가 있음을 기억한다.
---------------------------------------------------------------------
내가 알지 못했던 것들
1. 성공 향해 질주할 때 이미 실패의 싹이 자라난다.
저자는 자신의 책에서 제1~3 습관만 해도 성공할 수 있다고 말한다.
저자가 말한 대로 성공하기 위해서 일에 전력질주하고 고군분투할 나에게 저자는 다음의 말을 들려준다.
'성공을 향해 질주할 때 이미 실패의 싹이 자라나기 시작한다.' 저자의 말은 나에게 찬물을 끼얹는 이야기였다.
그래서 성공을 하기 위해서 나는 '책에 쓰인 대로 하라는 말이야? 아니야? 뭘 어쩌고 싶은 거야?'라는 생각이 든다.
저자는 무엇을 말하고 싶은 걸까?
2. 성공에는 빛과 그림자, 동전의 앞면과 뒷면 등 양면이 있다.
성공에는 빛과 그림자가 있는데 빛만 쫓다 보니 그림자가 생기고 있다는 것을 잊어버린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성공을 위해 열심히 일하는데 건강을 돌보지 않는다면 병은 성공과 함께 자라날 수 있다. 그 외에도 사기, 배신, 가족의 파탄, 사고 등이 일어날 수 있다.
성공을 향해 가야 하는 나에게 '갑자기 급제동을?'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성공을 해도 건강을 잃으면 모든 것을 잃는 것이다. 이건 동의한다. 성공했는데 가족을 잃어버려도 의지할 곳이 사라진다. 이것도 동의한다. -물론 정말 끊어버려야 하는 가족도 있다. 가족 대신에 주변의 소중한 사람들을 아끼면 된다. 아낄 사람을 아끼면 된다. -
결국 성공을 하지만 손에서 모든 것이 사라져 버릴 수도 있는 것이다. 저자가 말하고 싶은 것은 부자가 되는 순간 처음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으니 미리 준비하라는 거라고 나는 추측하였다.
성공을 향하는 길에 성공만이 아니라 다른 것도 신경 써야 한다는 것을 말하고 싶은 것이겠지.
성공을 했는데 처음으로 되돌아간다고? 내가 힘들게 모든 에너지를 최대한으로 써서 성공을 했는데 제로에서 다시 시작하라고? 음... 그건 피하고 싶다. 그래서 저자는 그걸 피하는 방법을 이야기해 주려고 한다.
3. 성공 향해 가는 길
1) 성공을 향해 가다 보면 완벽하고 싶은 마음에 신경질적이 되거나 마음이 조급해진다. 그러다 보면 내가 아끼던 사람들에게 화도 나고 짜증도 낸다. 이런 화와 짜증이 늘어난 나를 가족들이 '우리는 가족이니깐.'과 같은 마음으로 나의 실수를 얼마나 받아들여줄까? 아마 어느 정도는 가능할지도 모르나 그 이후에는 힘들 것이다. 그러니 완벽함보다는 불안전해도 애매해도 허용할 수 있는 마음이 필요하다. 완벽을 위한 짜증보다는 불안전해도 애매해도 성공을 향해 나아가면서 마음을 다스리는 것이 필요하다.
2) 성공을 향해 가다 보면 가족의 밉거나 싫은 모습이 눈에 들어온다. 드라마에도 나온다.- 아직은 성공을 드라마에서만 봐서- 처음에 성공하려는 사람은 가족이 내가 싫어하는 모습을 해도 '그냥 어쩔 수 없는 모습이지.'라고 생각했다.- 대부분은 주인공의 친구였다. 언제나 그렇듯 주인공은 착한 사람이다.-
그런데 성공을 하면 이상하게 가족의 밉거나 싫은 모습을 보면 마음에 들지 않으니 화를 낸다. 그런데 정확히 보면 가족이 밉게 보이는 행동도 결국 내 모습이 비친 거울과 같다는 것이 저자의 생각이다.
내 모습을 거울에 비춘 것과 같은 행동을 하는 가족들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싫어할 것인지. 가족의 싫은 면에서 어떤 것을 배워서 그 행동을 바꾸는 것인지는 본인의 선택이다. 저자는 가족이니 서로가 서로에게 배울 것 있다고 한다. 가족의 싫은 모습을 바꾸는 방법을 배우면 싫은 모습이 다시 나타나지 않는다라고 저자는 말하지만 나는 과연 그럴까?라고 생각한다. 결국은 본인의 습관 문제일 것이다. 가족의 싫은 모습이 나의 모습을 반영한 거라면 내가 변하면 된다. 그럼 그 거울도 변화하지 않을까? 그러니 가족을 변화시키려 하지 말고 나를 바꿔야 한다. 하지만 바꾸려는 노력을 하지 않거나 배우려고 하지 않으면 그 모습은 계속 내 눈앞에 나타나~서 나를 괴롭게 할 거라는 것이 저자의 이야기다.
3) 성공으로 만든 돈으로 사회 환원
외국 자산가는 수입의 10%는 반드시 기부한다고 한다. 부자들은 이런 기부를 통해서 재물을 정화한다. 저자 또한 기부를 하고 싶어 했다고 한다. 하지만 그 어느 단체도 믿기 힘들었다. 그래서 저자는 다른 단체들보다는 자신이 잘하는 분야에 개인 재산을 투입해서 어떻게 하면 사회 공헌할 수 있는지 진지하게 생각하 고 실행하라고 조언한다. 여기에서 포인트는 내가 잘하는 분야에 내 재산을 투입하여 사회를 변화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4) 자신이 얽매여 있는 틀을 제거하라
자신을 얽매고 있는 틀을 제거하면 새로운 나를 만날 수 있다. 그러면 지금까지 보이지 않던 현실이 열리며 "이것이 행복이야."라고 느낄 수 있다. 즉 새로운 나를 많이 만나라.
4. 저자의 마지막 말
"Trust yourself!"
새로운 현실이 차례차례 열릴 것이며 나를 성장시키기 위해 모든 사건들이 1초의 오차도 없이 완벽한 타이밍으로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현실은 나의 마음이 만드는 것이다. 작은 행동 하나부터 시작하라.
저자의 마지막 말도 나 자신을 믿고 실행하기 위한 행동 하나씩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Trust myself! Take action now'
5. 옮기는 이가 쓴 요약본
책을 옮긴이가 적은 요약본을 적어 더 간결한 의미로 이 책을 읽은 기분을 느꼈다.
- 하기 싫은 일 찾아 원하는 목표를 종이에 작성한다.
- 자신에게 최면 건다. SMART 원칙의 목표를 클리어파일에 넣어 가지고 다니는 습관을 들인다.
- 셀프 이미지 명함으로 '내가 원하는 나'로 변화한다.
- 오디오, 포토리딩 등의 공부법으로 필요한 최대한의 정보를 수집하여 목표 달성한다.
- 고객이 먼저 찾아오는 고자세로 영업한다.
- 돈 자체가 에너지다. 돈을 사랑하는 사람과 돈이 많은 곳에 돈이 몰린다. 돈이 들어오는 흐름을 만들어라.
- 성공 시나리오를 구체적으로 설계하기 위해 현재와 미래를 연결하는 행동력과 상상력이 필요하다
- 완벽을 추구하기보다는 가족을 소중히 여기며 돈을 가치 있고 유용하게 사용하라.
6. 내 삶에 끌어들인 것
1) 건강, 가족 등 소중히 여겨야 할 것을 아끼자.
성공을 향해 가더라도 가족과 한 달에 2~3회 정도 통화한다.
산책을 주 5일 하루에 30분 한다.
근력 운동을 일주일에 1일 정도 40분 한다.
2) 'Trust myself! Take action now'
나를 위한 새로운 현실이 차례차례 열릴 것이며 나를 성장시키기 위해 모든 사건들이 1초의 오차도 없이 완벽한 타이밍으로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믿는다. 매일 나에게 위의 말을 되새긴다. 그리고 내 삶에 끌어들인 것들을 지키기 위한 행동을 습관으로 만든다.
습관은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일을 하는 것이다. 많은 습관을 한꺼번에 만들 필요는 없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그저 지금 하는 일에 하나를 추가하거나 변경하거나 하면 된다고 생각한다. 위의 말은 현재 하는 행동에서 약간의 변형만 하면 된다. 현재 나는 "온 우주가 나를 돕는다."라고 아침마다 되새긴다. 이제는 그 온 우주가 나를 성공시키기 위해서 완벽한 타이밍으로 새로운 현실을 차례차례 열어 줄 거라고 생각하면서 "온 우주가 나를 돕는다."라고 아침마다 되새긴다.
그리고 1번은 지금도 실천하는 것이다. 성공할수록 "BACK TO THE BASIC - 기본으로 돌아가다."가 기본 모토가 되어야 한다.
'글쓰기 > 책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비투스 제 4장: 크로스지식으로 가치 창조 (0) | 2023.01.26 |
---|---|
아비투스: 제3장 취향이 세련되고 우아해지고 싶다 (1) | 2023.01.25 |
아비투스 - 심리자본의 성장마인드셋 키우기 (1) | 2023.01.21 |
아비투스-제1장 아비투스는 태어나는 순간부터 새겨진다 (0) | 2023.01.18 |
비상식적 성공법칙 - 제7습관 미래의 시나리오 짜는 법 (0) | 2023.01.16 |
비상식적 성공법칙 - 제6습관 돈 컨트롤 방법 (1) | 2023.01.15 |
비상식적 성공법칙 - 제5습관 임금님 세일즈기법 (0) | 2023.01.13 |
비상식적 성공법칙 - 제4습관 (0) | 2023.0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