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 [비상식적 성공법칙] -저자:간다 마사노리, 옮긴이: 서승범-
- 목차 -
제6습관 | 돈을 몹시 사랑한다.
----------------------------------------
돈의 습성을 알고 있는가
돈 버는 일에서 도망치지 마라
돈에 대한 죄악감을 없애라
하루라도 빨리 돈이 들어오는 흐름을 만들어라
돈에게 미움받지 않는 돈 사용법
원하는 만큼 연 수입을 버는 방법
1. 질타없는 답변의 성공법칙들
저자는 사람들이 왜 성공법칙대로 하는데 어떤 사람은 성공하고 어떤 사람은 실패할까?에 대해 이런 답변을 한다.
성공한 사람들은 자신이 성공할때 온갖 욕심과 욕망의 화신이 되어서 돈을 열심히 벌었다. 그런데 성공하고 보니 그렇게 하는 것보다는 다른 사람도 돕는게 중요해 보인다. 그래서 성공한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질타 받지 않는 답변을 한다. 성공한 사람들은 사람들이 듣고 싶거나 공감하고 싶은 말을 한다.
성공한 사람들은 "설레는 일을 하세요.", "세상에 도움되는 일을 하세요."라고 말한다. - 모든 성공한 사람들이 설레지 않는 일을 하고 세상에 도움되지 않는 일을 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그들도 성공하기 위해서는 돈에 집착하였고 돈을 벌기 위해 노력했다. -
2. 돈을 컨트롤 하는 3가지 원칙 - 돈을 열렬히 사랑하라
돈을 보며 '나쁘다.'거나 '돈을 소중히 여기는 것은 좋지 않은 것이다.', '돈은 불결한 것이다.' 라는 인식을 가지면 안된다고 말한다. 요즘 대부분 사람들이 돈을 그렇게 보지는 않는다. 돈은 꼭 필요한 것이고 소중한 것이라는 인식은 많이 가지고 있다.
하지만 저자는 그것보다 돈 그자체를 더 좋아하라고 한다. 보통은 돈으로 할 수 있는 일을 하고 싶어서 돈을 좋아한다.
그러나 저자는 돈의 색깔, 촉감, 줄세우기, 소리 등을 통해서 돈은 기분 좋은 것이라는 이미지를 만들라고 한다.
어떤 사람은 돈의 냄새를 맡으며 향긋하다고 하고 또 어떤 사람은 돈의 앞면과 뒷면의 줄을 잘 세우면 돈이 착착 맞춰서 들어올거라는 상상을 한다고 한다. 또 누군가는 통장에 원하는 금액을 쓰고 매일 들여다 보며 돈을 열렬히 좋아한다.
3. 돈을 컨트롤 하는 3가지 원칙 - 캐시 플로우(cash flow) 만들기
돈은 돈 자체가 돈이라는 동료를 불러들인다. 옛날 어른들이 아이들에게 저금통을 선물로 줄때 보이는 저금통에 돈 천원을 넣어주면 그 저금통에 자신도 돈을 넣고 싶어한다. -물론 저금통 배를 가르고 과자를 사먹는 아이도 있었다.-
돈은 좋은 돈이든 나쁜 돈이든 돈이 있는 곳으로 모여든다. 저자는 한 드라마의 탈세범이 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탈세범은 "물이 몇 방울씩 떨어져서 컵을 반 정도 채웠을때 먹으면 안된다. 물이 흘러넘쳤을때 그때 흐르는 물을 마셔야 한다."라는 뉘양스로 이야기를 한다. 즉 돈이 들어왔다고 돈을 쓰면 안된다는 것이다. 돈이 많아서 흘러 넘치는 것을 써야 한다는 말이라고 나는 이해했다.
만약 나의 재정 사정이 나가는 돈이 많다면 결국 그 돈은 돈이라는 동료를 데리고 탈출하여 나의 주머니에는 돈이 다 빠져나가는 상황이 만들어지고 내가 버는 돈이 많아서 흘러넘치게 되면 돈이 또 다른 돈을 불러들여서 더 흘러넘치게 만드는 것이다.
그럼 나는 얼마나 써야 할까? 저자는 나가는 돈은 수입의 11%가 적당하다고 한다.
4. 돈을 컨트롤 하는 3가지 원칙 - 나의 연수입은 내가 결정할 것
사람들은 보통 월급은 받는 거라는 의식을 가지고 있다. 저자는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면서 월급은 받는 게 아니라 내가 버는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내가 연수입을 2천에 고정시키면 2천만 받게 되지만 내가 "내 연수입은 4천은 벌거야."라고 생각하면 4천을 벌게 되는 거라고 한다. 현실은 2천도 벌기도 힘들 수 있다.
하지만 그걸 넘어설 수 있게 하는 것은 내가 연 4천을 벌겠다는 의지이다.
즉 저자가 말하는 것은 사람들은 자신의 잠재의식에 새겨진 대로 행동하게 된다는 것이다.
5. 돈을 벌면 행복해질까?
저자가 돈을 많이 벌면서 행복하다고 느낀 순간들을 나열할때 공감되었다.
1) 자신이 피곤하다고 느낄때 돈 걱정없이 택시탈 수 있는 순간
2) 음식을 사먹을때 메뉴판에 2만원과 4만원 중에 선택해야 할때 가격 걱정없이 4만원을 고를 수 있을 때
아마 사소하다면 사소하지만 지금도 할 수 있다면 있을 것이다.
하지만 돈이 흘러넘치는 걸로 위의 행동들을 할 수 있다면 더욱 행복할 것이다.
어떤 사람은 "돈을 벌어서 사회에 도움을 주어야 하는거 아니야?"라는 생각을 하는 사람들에게 이런 메세지를 전한다.
연 4천을 벌어서 얼마를 기부하느니 연 1억을 벌어서 9천 5백만원을 기부하라고 말이다. 돈의 액수는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결국 원하는 것을 이루고 기부할 수 있느냐의 문제이다.
돈이 주는 자유는 나를 행복하게 만들수 없을지 몰라도 적어도 내가 나의 삶을 결정할 수 있는 기회는 줄 수 있다.
6. 내 삶에 끌어들일 것은?
1) 돈을 더 열렬히 이뻐해 줘야겠다. 현금을 보는 일은 거의 없으니 리얼하게 상상하기를 할때 통장에 돈이 입금되는 모습을 매일 상상한다. 그렇게 나의 통장 잔고는 늘어나는 모습을 상상하면 결국 나에게 통장에 있는 돈이 동료들을 모아올 것이다.
2) 수입의 11%를 지출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확인결과 수입(월:200만원)의 11%를 넘어버리고 있었다.
아래가 지출금액이다.(대출금 제외)
항목 | 금액 |
보험 | 150,000 |
통신비 | 50,000 |
기부금 | 10,000 |
생활비 | 150,000 |
총 합계 | 360,000 |
나는 수입의 18%를 지출로 사용하고 있었다.
대출금까지 하면 68%가 지출로 사용되고 있다.
그렇다면 나는 수입의 11%까지 어떻게 줄일 수 있을까?
방법은 2가지이다. 지출을 줄이거나 수입을 늘리거나이다.
지출을 줄이는 방법으로
1. 통신비 요금을 줄인다.
나의 경우 9천원 정도의 알뜰요금제를 사용하고 엄마의 경우 3만원 정도의 알뜰요금제를 사용한다. 이번에 엄마의 알뜰요금제를 1만원짜리로 변경해 드렸다. -편하게 원하는 곳에 전화 많이 하라고 높은 요금제 해드렸는데 싫다고 하셨다. 더 싼걸로 하라고- 금액이 얼마정도 하향될지는 확인해보면 될 것 같다.
2. 생활비 내에서 생활
현재 생활비를 150,000으로 책정하였으나 가끔 오버하여 사용할 때가 있다. 그것을 조절하는 것이 관건이다. 그래서 현재 카카오뱅크에서 체크카드를 만들어 생활비를 따로 빼서 생활하고 있으며 체크카드에 연결된 통장에 돈이 없으니 소비가 절제되고 있다는 것이 느껴진다. 예전에는 기분상 소비가 꽤 있었다.
3. 보험금
보험금은 실손보험과 연결된 거라서 해지는 어렵다. 150,000원은 조금 높여잡은 것으로 1월달 출금액을 보니 120,000원 정도였다.
그래서 통신비 요금과 보험금을 줄이면 수입의 15.5% (대출포함시는 65.5%) 까지 낮춰진다.
다음 방법으로는 수입을 늘리는 것이다.
1. 티스토리 블로그의 구글 애드센스 연결개선
티스토리 블로그의 경우 분명 클릭한 수는 있는데 구글 애드센스에 나타나는 금액이 없는 날도 있었다. 원인이 나오지 않는다. 구글은 편리한 척하지만 정작 제일 어렵다. 뭔 소리인지 친절하지도 않다. 메뉴이름도 일치하는 걸 찾기 어렵다.
현재 가장 큰 문제는 구글 애드센스 사이트맵에 나와있는 URL 수와 페이지에 색인요청된 URL 수가 다르다.
원인을 찾아서 해결해 봐야겠다.
2. 유튜브를 시작
유튜브의 경우 당장 수익을 바라고 하는 것은 아니다. 단! 수익이 날 수 있는 파이프라인을 만들어 놓아야 한다는 생각으로 시작하는 것이다. 기본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꾸준히 하다보면 분명 늘어나고 수익이 발생하거라 생각한다.
'글쓰기 > 책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비투스 - 심리자본의 성장마인드셋 키우기 (1) | 2023.01.21 |
---|---|
아비투스-제1장 아비투스는 태어나는 순간부터 새겨진다 (0) | 2023.01.18 |
비상식적 성공법칙 - 제8습관 빛과 그림자는 동시에 시작된다. (0) | 2023.01.17 |
비상식적 성공법칙 - 제7습관 미래의 시나리오 짜는 법 (0) | 2023.01.16 |
비상식적 성공법칙 - 제5습관 임금님 세일즈기법 (0) | 2023.01.13 |
비상식적 성공법칙 - 제4습관 (0) | 2023.01.12 |
비상식적 성공법칙- 제3습관 (0) | 2023.01.11 |
비상식적 성공법칙 제2습관 현실 컨트롤 방법 (0) | 2023.0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