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식적 성공법칙 - 제7습관 미래의 시나리오 짜는 법
본문 바로가기
글쓰기/책리뷰

비상식적 성공법칙 - 제7습관 미래의 시나리오 짜는 법

by 찐콕 2023. 1. 16.

Contents

     

    📖 [비상식적 성공법칙] -저자:간다 마사노리, 옮긴이: 서승범-


    - 목차 -
    제7 습관 | 결단을 내리는 사고 과정을 배운다
    ------------------------------------------------------------
    성공 법칙 덕후가 성공할 수 없는 이유
    현재의 좋은 면과 미래의 나쁜 면 사이에서
    결단을 내리기 위한 시나리오를 만드는 과정
    미래로부터 역산해 현재의 행동을 결정한다


     

    1. 마음은 항상 흔들린다

    저자는 우리의 마음이 갈팡 질팡하며 진자처럼 흔들리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한다. 그런 마음을 가진 사람들에게 "성공을 위해서는 결단을 내려야 해."라고 말해 봤자, 결단은 내려지지 않고 결단을 내려도 자꾸 의심하게 된다. "이게 맞는 걸까? 이렇게 하는 게 옳은 걸까?"라고 말이다. 그래서 결국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는 것이다.
    누구나 갖고 있는 "성공하면 좋겠다."라는 마음으로는 성공과 친해질 수 없다. 성공이라는 친구가 있는데 한 발짝 떨어져서 성공을 보고 있다. 그런데 갑자기 그 성공이 와서 "안녕~ 나 사실 너와 친하게 지내고 싶었어."라고 인사한다. 갑자기 내 멱살을 붙잡더니 "널 성공으로 이끌어줄게."라고 말하며 나를 이끌고 간다면 당신은 갈 것인가? 나는 "미친 사람인가?"라고 생각할 것 같다.
    내가 친하게 지내고 싶다고 생각해도 그 행동의 주체가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이라면 의심부터 하게 된다. 모든 행동의 결정은 내가 해야 한다. 즉 "성공하고 싶다"가 아니라 나는 "성공하기 위해 OO을 하겠다."라는 생각이 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 사이에서 흔들리는 마음을 어떻게 인지할 것인가가 중요하다.

    2. 흔들리는 마음에 대해 자각하라

    자각이란 스스로 自(자), 깨닫다 覺(각)을 쓰는 단어있다. 스스로 깨닫다, 스스로 느끼다, 스스로 드러내다 등으로 얘기할 수도 있겠다. 결국 해야 하는 사람은 "나"라는 이야기다.
    저자는 사람은 항상 이율배반적 감정, 마음이 진자상태가 된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나는 왜 결단을 못 내리지."라고 자책할 필요도 고민할 필요도 없는 문제인 것이다. 모든 상황에서 이것도 생각하고 저것도 생각하고 왔다 갔다 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것이라는 것을 받아들이면 된다. "그러면 나쁜 거 아니야? 하나를 고르고 그것으로 전진해야지 될까? 말까? 아니냐고!"라고 말할 수 있다. 나는 살면서 단 한 번도 한 쪽면만 생각해 본 적 없다. 항상 장점도 단점도 행복도 불안도 떠올랐다. 모든 감정을 떠올리고 생각하면서 모든 입장을 고려해야 이성적 결정도 내릴 수 있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3. 막다른 골목에 몰린 듯한 기분이 든다

    한 가지 상황에 대해 필요성, 불안함 등을 느끼면 우리는 막다른 골목에 몰린 듯한 기분이 든다. "어떻게 해야 하지? 방법이 없을까?" 다른 사람들은 도대체 어떻게 이 상황을 벗어나는 거야?" 등의 생각을 하면서 자신이 한심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나는 그랬다. 그러다가 나는 그 상황을 생각하는 것을 회피하거나 생각하는 것을 포기하였다.
    답이 없는 질문에 매달리고 있는 멍청이처럼 느껴졌기 때문이다.

    4. 막다른 골목에서 스스로 자각하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사고 과정인 '시나리오 짜는 법'

    막다른 골목에 몰려서 마음이 왔다갔다 하는 상태라는 것을 스스로 느꼈다면(자각) 그다음은 그 상태에서 벗어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그것이 '시나리오 짜는 법'이다.
    시나리오는 총 4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의 좋은 점, 현재의 나쁜 점, 미래의 좋은 점, 미래의 나쁜 점이다.
    나는 여기에서 4가지를 바탕으로 나의 마음을 자각한 것을 나누어 적어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저자처럼 내가 회사를 나가서 내 사업을 하고 싶다면?

    현재의 좋은 점?
    월급을 계속 받을 수 있다. 고객 대응 및 기타 업무에 대한 지식이 늘어난다.

    현재의 나쁜 점?
    월급은 안 오르는데 일은 계속 늘어나겠지. 시키는 일만 늘고 무거운 물건도 많이 옮겨야 한다.

    미래의 좋은 점?
    창업을 하면 내가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돈을 더 벌어서 대출금을 빨리 갚을 수 있다.

    미래의 나쁜 점?
    경기가 불황이다. 과연 사람들이 내 아이템을 반겨줄까?


    4가지 생각 - 4 thinkings



    그렇다면 나는 좋은 점은 유지 또는 최대화하고 나쁜점은 회피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현재의 좋은점은 어떻게 유지하지?
    고객 대응은 창업을 할 때도 필요하니 지속적으로 대응한다. 문제 발생 시 해결 방안을 어떻게 찾았는지 일기에 기록한다.

    미래의 좋은 점은 어떻게 최대화하지?
    하기 싫은 일은 하지 말고 성공할 수 있는 내가 꾸준히 할 수 있는 비즈니스로 시작하자. 자금 100만 원을 투자하고 이 돈을 다 쓰면 그 즉시 그만두자

    미래의 나쁜 점은 어떻게 회피하지?
    내가 1년 넘었으니 퇴직금이 있을 거야. 그렇다면 퇴직금이 얼마나 되는지 확인해 보자. 그것이 비즈니스 모델이 안 되었을 때 3~6개월 정도를 지탱할 수 있는지 파악하자.

    현재의 나쁜 점은 저자도 적지 않았다. 왜 안 적었을까?를 고민해 보면 답은 정해져 있다. 내가 컨트롤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니다. 월급은 대표님이 주고 시키는 일이 늘어나는 것은 당연한 미래이고 무거운 물건은 지금도 나르고 있다. 그러니 변화될 것이 없는 회사를 그만두거나 다른 부서로 가지 않는 한은 회피할 수 없는 문제인 것이다.
    나는 4가지 영역에 대해 생각하고 적어 보았다. 이제 여기서 내가 어떤 것을 먼저 해야 하는지 생각해야 한다.
    현재의 나쁜 점이 싫으니 미래의 좋은 점으로 나아가는 방식이 아니라 저자는 제3의 길을 모색하라고 한다.
    즉 월급을 계속 받으며 내가 생각한 창업자금 100만 원을 모은다. 모으는 사이에 하기 싫은 일이 무엇인지 파악해서 성공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만든다. 그 모델을 회사 다니는 중에 시행해 볼 수 있다면 해보고 아니라면 불황에도 사람들이 내 아이템을 반겨줄 만한 것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넣어도 좋을 것이다.
    결국 시나리오 짜는 방법은 내가 생각한 것의 순서를 정해주는 것이다. 어떤 것부터 시작하고 그다음에 무엇을 할 것인지를 말이다. 저자는 이렇게 순서를 정하면 돌파구가 보인다고 한다.

    5. 시각화 테크닉을 사용하여 미래를 역산하여 현재 행동을 정하라

    시각화 테크닉은 하나의 상상력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것을 하는 목적은 현재 상황과 실현하고 싶은 상황 사이에 존재하는 갭을 메꿔가는 과정을 리와인드 영상처럼 되감듯이 해보는 것이다.

    잠이 들려고 침대에 누웠을 때 하면 좋은 방법이다.

    1. 잠들기 전 자신의 목표를 생각한다.
    2. 침대에 누워서 눈을 감는다.
    3. 어두운 복도, 높은 천장, 바위로 된 벽, 촛불로 어스름한 빛이 드는 긴 통로를 걷는다.
    4. 그 통로 끝에 엘리베이터가 나온다.
    5. 엘리베이터 안에 들어가니 과거, 미래라고 쓰인 글자 밑에 위(△), 아래(▼) 버튼 2개씩 총 4개가 보인다.
    6. 미래 밑의 아래(▼) 버튼을 누른다.
    7. 문이 열리니 파티장에 사람들이 많고 그 사람들이 나를 쳐다본다.
    8. 그중 나와 똑같이 생긴 사람이 나를 반긴다.
    9. 그 사람이 나에게 "나는 미래의 성공한 당신의 모습이에요. 저는 현재의 나인 당신이 오길 기다렸습니다. 이제 제가 어떻게 성공했는지 알려드릴게요."
    10. 미래의 성공한 내가 들려주는 이야기를 듣는다. 어제는 무엇을 했는지, 1달 전에는, 6개월 전에는, 1년 전에는, 2년 전에는, 현재 내가 살고 있는 시간대에서 어떤 한 발로 시작했는지 등등에 대해서 말이다.
    11. 나는 고맙다고 인사를 하고 엘리베이터로 가서 현재로 돌아오는 버튼을 누른다.

    6. 내 삶에 끌어들인 것은?


    1) 마음이 흔들려 결정이 힘들 때는 단칼에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3의 방법이 있는지 모색한다. 4 방면의 좋은 점과 나쁜 점을 적어보자.

    2) 시각화 테크닉 기법으로 리와인드하는 방법은 잠들기 전에 해볼 예정이다. 아마 소원목록을 상상하는 것처럼 처음에는 잘 안 보이고 중간에 잠들어 버릴 수도 있을 것이다. 그래도 꾸준히 한다면 분명 그 방법이 보일 거라고 생각한다. [열두 살에 부자가 된 키라]를 보고 소원목록 상상한 지 이제 2개월인데 처음에는 보이지 않던 방법들이 떠오르고 있다. 그것이 내가 이것이 성공할 거라 믿는 이유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