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종합지수와 코스피지수 비교 분석(Feat. Excel Grape)
본문 바로가기
글쓰기/책리뷰

경기종합지수와 코스피지수 비교 분석(Feat. Excel Grape)

by 찐콕 2023. 1. 8.

Contents

     

     키워드로 본 핵심

    • 경기종합지수
    • 경기선행지수

    [부자 만드는 경제기사] - 저자:이상건, 노혜령 -

     

    1. 경기종합지수

     

    책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경기 종합지수를 찾아보기로 했다. 경기 종합지수를 볼 수 있는 사이트는 아래와 같다.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C8013&conn_path= 

     

    KOSIS

     

    kosis.kr

     

    10년 치의 데이터를 찾았는데 책에서는 2003년도 기준이라서인지 경기종합지수의 지수는 1995년을 100으로 잡고 올라간 것과 내려간 것을 비교하였지만 최근에는 2015년을 100으로 잡고 지수를 내고 있다.

     

    경기종합지수를 찾아보면 경기종합지수라는 항목은 없다. 그렇다면 나는 여기서 어떤 데이터를 보아야 하는 것일까?

    책에서 경기종합지수는 선행지수, 동행지수, 후행지수의 3가지로 구성되어 있다고 한다.

     

    데이터는 위의 사이트에서 10년 치 데이터를 CSV로 다운로드하였다. XLS 파일명으로 다운로드하기도 하는데 데이터의 그래프만 그릴 거라서 다른 기능은 필요 없어 쉼표로 구분하는 CSV로 다운로드하였다.

     

    그래서 선행지수, 동행지수, 후행지수를 그래프로 그려보았다.

     

    2013-2022 경기종합지수

     

    위의 그래프롤 보면 특정시점에서 데이터 차이가 많이 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2020년 3월부터는 동행종합지수가 떨어져 나가기 시작하는 시점이다. 그러다가 2020년 9월부터는 선행종합지수와 후행종합지수마저도 갈라서기 시작한다.

     

    2. 선행종합지수와 선행지수 전년동월비 비교

     

    여기서 제일 중요한 것은 선행종합지수이기에 선행종합지수와 선행지수 전년 동월비를 비교해 보았다.

     

    2013-2022 선행종합지수와 선행지수 전년동월비 비교

     

    선행종합지수는 대략 6개월가량 경기를 앞서 보여준다고 한다 그래서 미래 변화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한다.

    그런데 10년 치 데이터에서는 선행지수를 보더라도 시간이 감에 따라 올라간다는 사실만 확인된다.

     

    2022년 선행종합지수 6개월치 DATA TABLE

     

    그래서 선행종합지수 6개월치의 데이터 테이블을 확인해 보았다. P가 붙은 경우는 예측치이므로 예측치를 3달치 + 6달치를 같이 표를 옮겨본 것이다.

    데이터를 보면 선행종합지수가 계속 오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경기가 회복된다고 보는 게 맞는 것처럼 보인다. 

     

    3. 선행지수 전년동월비

     

    하지만 저자는 책에서 선행지수는 경기의 순환적인 흐름을 제대로 보여주지 못한다고 하면서 그것을 보완하기 위해 통계청이 만든 것이 '선행지수 전년동월비'라고 했다.

    '선행지수 전년동월비'란? 선행지수가 전년도 같은 월에 비해 얼마나 증감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로 만약 2022년 8월의 선행지수 전년동월비를 구하려고 하면 ((2022년 8월 선행종합지수 - 2021년 8월 선행종합지수)/2021년 8월 선행종합지수)로 계산하면 된다.

     

    2013-2022 선행지수 전년동월비

     

    선행지수 전년동월비가 상승세로 반전되면 주식시장도 대세가 상승으로 전환한다는 결론을 내린 전문가도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지금은 상승세로 반전하는 것일까? 아니면 떨어지는 구간에서 잠깐 쉬는 것일까? 3개월은 전망치이니 좀 더 추이를 지켜보는 것이 나을 것이다. 상승으로 보기에도 하락으로 보기에도 애매한 부분에 딱 걸려있다.

     

    4. 선행종합지수와 KOSPI지수 비교

     

    날짜를 동일하게 해서 선행종합지수와 KOSPI 지수를 단순 비교해 보았다.

    같은 흐름을 탄다고 보기에는 많은 차이가 보였다.

     

    2013-2022 코스피지수와 선행종합지수 비교

     

    그렇다면 선행종합지수가 6개월 선행지수라고 하니 6개월을 미뤄서 비교해 보면 어떨까?

    선행종합지수를 2013년 1월 데이터를 2013년 6월에 넣었다. 코스피지수는 그대로 사용하였다.

     

    2013-2022 코스피지수와 선행종합지수(6개월미루어서) 비교

     

    코스피지수와 선행종합지수 사이의 유의미한 관계가 있다고 보기에는 어렵다고 판단된다.

     

    5. 경기선행지수 전년동월비와 코스피지수 비교

     

    경기선행지수 전년동월비와 코스피지수를 비교해 보았다. 그래프의 혼동이 선행종합지수보다는 관계가 있어 보일 확률이 높아 보인다. 

     

     

    2013-2022 코스피지수와 선행지수 전년동월비

     

    그렇다면 6개월 선행을 해보면 어떨까? 마찬가지로 선행지수 전년동월비 2013년 1월 데이터를 2013년 6월에 넣었다. 코스피지수는 그대로 사용하였다.

     

     

    2013-2022 코스피지수와 선행지수 전년동월비(6개월 미뤄) 비교

    위의 그래프롤 보면 그래도 연관성이 있어 보인다. 몇 군데를 빼고는 비슷한 추이를 보인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올해 상반기 주가시장은 선행지수 6개월치를 보면 하락장인지 상승장인지 알 수 있지 않을까?

     

    2022.3 -2022.11(예상치) 선행지수 전년동월비

     

    위 그림의 선행지수 전년동월비 데이터테이블을 보면 알 수 있다. 올해 상반기도 주식은 하락장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주가가 바닥을 찍었다고 했는데 아닐 가능성에 주목해야 할 것 같다.

     

    데이터는 만들어도 판단은 나의 몫이다. 올해 추이를 본다면 더 확실해질 것 같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