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만드는경제기사탐독중'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300x250

부자만드는경제기사탐독중33

코스피지수와 소비자심리지수 비교하기 1탄: 1일1글쓰기-2022.01.05. 📖 [부자 만드는 경제기사] - 저자: 이상건, 노혜령 키워드로 본 핵심 주식의 종합주가지수의 다른 이름 코스피지수 그래프 보조축을 활용한 데이터 추이 KOSIS 코스피지수 오늘 찾아볼 내용은 어제에 이어서 종합주가지수이다. 종합주가지수를 소비자심리지수와 비교해야 의미가 있기 때문에 주식의 종합주가지수를 구글에 검색하였다. 구글의 주가 종합지수가 나오나 그것은 기간별로 종합주가지수를 검색할 수 없었다. 최대 10년 치만 그래프로 볼 수 있었다. 그래서 종합주가지수에 대해 다른 글을 선택하여 보았다. 1. 주가지수의 이해 (https://eiec.kdi.re.kr/material/clickView.do?click_yymm=201512&cidx=1069) 주가지수의 이해 | click 경제교육 | KDI 경.. 2023. 1. 5.
국내소비관련지표 중 소비자심리지수를 어디서 찾아?:1일1글쓰기-2023.01.04. 키워드로 본 핵심 소비 관련지표 찾아보기 국내 소비관련지표 중 소비자심리지수 📖 [부자 만드는 경제기사] - 저자 : 이상건, 노혜령 미국증시와 소비자신뢰지수 등 소비관련 지표가 경제기사에 자주 등장한다는 문장이 있었다. 그래서 소비자 관련지수를 찾았고 거기에 박경철님이 쓴 칼럼이 있었다. 해당 사이트는 아래와 같다. 1. 박경철님 칼럼 (https://eiec.kdi.re.kr/publish/naraView.do?cidx=6204 ) 소비지표만 ''제대로'' 읽어도 투자 고수 | 나라경제 | KDI 경제정보센터 시장 혹은 경제 현상은 그것을 계측하려는 시도가 있을 때마다 일부러 그것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1920년대에는 기업 실적만 먼저 입수해도 돈다발을 얻을 수 eie.. 2023. 1. 4.
재테크 기고자들이 처한 상황에 따라 글의 내용이 달라진다?:1일1글쓰기-2023.01.03. 제9장 경제기사 거꾸로 보는 법 재테크 필자의 한계를 알고 스스로 판단하라. [부자 만드는 경제기사]-저자:이상건, 노혜령- 키워드로 본 핵심 재테크 기고자들의 한계 광고성기사를 조심 세이노라는 필명의 재테크 기고자 저자는 신문의 재테크 기고를 쓰는 사람들은 누구일지에 대해 물어본다. 재테크 기고를 쓰는 사람들은 스스로 돈을 벌 수 있거나 경제의 흐름을 잘 알아서 투자에 성공한 사람들일 거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실상은 거의 대부분이 금융쪽 재테크는 은행에서 일하는 사람들이고 부동산 쪽 재테크 기고는 인터넷 부동산업체나 부동산 컨설팅업체 사람이라고 한다. 가끔 경제의 흐름이나 패러다임, 트렌드와 관련해서 각 연구소의 연구원들의 글들이 경제뉴스에 실린다. 그렇다면 그들의 글에서 나와 같은 재테크 초보가 얻어.. 2023. 1. 3.
신문기사에도 돌려막기가 있다고?:1일1글쓰기-2023.01.02. 제9장 경제기사 거꾸로 보는 법 순환, 반복형 기사를 뉴스로 착각하지 말라. [부자 만드는 경제기사]-저자: 이상건, 노혜령- 키워드로 본 핵심 공항에 대한 반복형 기사 불황에 대한 순환형 기사 기사는 역피라미드 구조로 작성 기자들도 직장인이다. 그런 직장인에게 무엇보다 지키고 싶은 워라밸이 있다면, 연말과 휴가일 것이다. 연말과 휴가철이라도 기사는 나오지만 실제는 비수기라서 새로운 뉴스거리는 저조한 편인 것이다. 이때에 새로운 기사거리가 아니지만 그런것처럼 보이는 순환형, 반복형 기사들이 출연한다고 한다. 저자는 기자들도 휴가 가고 없을 때 대비해 '계절성' 기사를 만들어 놓는 관행이 있다고 이야기한다. 휴가철이나 연휴때마다 올라오는 '공항이 붐빈다.'라는 기사와 불황의 시기에 떠오르는 '복고형 제품이.. 2023. 1. 2.
재테크 초보라면 이 분야를 먼저 공부해야???:1일1글쓰기-2023.01.01. 제9장 경제기사 거꾸로 보는 법 역정보에 조심하라 [부자 만드는 경제기사]-저자-이상건, 노혜령- 키워드로 본 핵심 역정보 경험칙인 노하우 중요한 세계 재테크 초보에게는 주거용 부동산 공부가 더 유리 이번 소제목의 화두는 역정보이다. 역정보란 고의적으로 유포되는 잘못된 정보 또는 부정확한 정보로 일부러 유출하는 허위정보이다. 역정보를 믿고 투자했다가는 손실이 날 확률이 높다. 그렇다면 내가 역정보를 알아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역정보가 맞는지에 대한 사실 분석이다. 그래서 저자는 돈의 세계는 인과법칙을 다루는 논리 know-why의 영역이 아니라 경험칙인 노하우know-how가 더 중요한 세계라고 한다. 그러니 저자는 누가 나한테 와서 "2배의 수익률을 올릴 수 있는 정보가 있어."라고 한다면 믿지.. 2023. 1. 1.
새해마다 올라오는 투자처 전망의 경제기사를 읽을 나에게 전한다:1일1글쓰기-2022.12.31. 제9장 경제 기사 거꾸로 보는 법 취재원의 이해관계를 따져봐라 [부자 만드는 경제기사]-저자: 이상건, 노혜령- 저자는 2가지의 기사를 선보인다. 2003년 새해를 맞이하여 투자를 어디에 하면 좋을까?에 대한 경제기사들이다. 신문을 보는 구독자들의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서 기자들이 취재원 즉 한분야의 전문가인 사람들을 취재한 내용을 실은 기사들이다. 첫번째 기사는 아래의 기사이다. 2003년 1월 7일자 금융계 CEO들 "주식 YES, 부동산 NO"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03/01/07/2003010770266.html [재테크] 금융계 CEO들 “주식 Yes, 부동산 No” 전망 재테크 금융계 CEO들 주식 Yes, 부동산 No 전망 안전·수익성.. 2022. 12. 31.
집을 사야 할까? 산다면 얼마나 필요할까?:1일1글쓰기-2022.12.30. 제9장 경제기사 거꾸로 보는 법 전문가라고 다 맞추는 건 아니다. [부자 만드는 경제기사] -저자: 이상건, 노혜령- 저자는 이번 장에서는 어떤 사람의 사연에 대해 이야기한다. 내용인즉 전문가가 집을 사서 이득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시기는 이제 끝났다고 주택보급률 100%으로 다가갈수록 집값은 계속 하락이 지속된다는 이야기를 믿은 한 사람이 있다. 그 사람은 전문가의 그럴듯한 이야기가 마음에 들었고 자신도 동의하였다. 자신이 소유한 집을 청산하고 더 큰 아파트의 전세로 들어갔다. 그런데 이게 웬일인가 이제는 집값이 너무 비싸져서 더이상 집을 사는게 만만치가 않다. 그랬던 것이 벌써 20년 전의 이야기이다. 결국 20년 전에 집값 하락을 이야기했던 전문가의 이야기는 정말 터무니없는 이야기였던 것이다... 2022. 12. 30.
뻥튀기 기사와 자전거 주는 신문사는 같은 이유?:1일1글쓰기-2022.12.29. 제9장 경제기사 거꾸로 보는 법 신문도 이익을 좇는 사기업이다. [부자 만드는 경제기사] -저자:이상건, 노혜령- 저자는 신문사들의 수익구조를 이해해야 신문 내용에 휘둘리지 않고 진짜와 부풀려진 기사를 구분해 낼 수 있다고 조언한다. 나는 신문기자라면 공정하고 도덕적인 내용에 어떤 압력이나 세력에도 굴하지 않을 거라는 드라마에서 보던 정의로운 기자를 생각한다. 실상은 나와 같은 직장인이고 상사의 눈치와 광고주의 압력에 시달리는 사람이 더 많을 것이라는 게 더 현실적이라는 것이다. 저자가 말한 수익구조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사실은 신문이 어떻게 수익을 내느냐이다. 나는 드라마나 영화에서 구독부수를 챙기는 장면을 많이 봤으니 당연히 신문을 팔아서 수익을 낼거라고 생각했던 것이 무색하게... 신문사는 신문의 .. 2022. 12. 29.
글로벌 스탠다드화가 눈 앞에 딱! 1년만에 :1일1글쓰기-2022.12.28. 제 7장 국제기사 보는 법 선진국 새로운 제도는 머잖아 수입된다. 키워드로 본 핵심 글로벌 스탠더드화 선진국 제도 국내 반영 시기 짧아짐 미국에서는 금융시스템, 경영트렌드를 일본에서는 신종사업 아이템 저자는 세계가 글로벌 스탠더드화가 가속화 되기 있기 때문에 국제기사의 내용에 관심을 가지라고 조언한다. 그렇다면 글로벌 스탠더드화는 무엇일까? Global Standard란 단일화된 세계시장에서 기준으로 통용되는 규범을 말한다. 즉 다른 나라의 제도지만 국내에도 똑같이 그 제도를 적용하여 같은 표준화를 채택한다. 그렇게 한 두 나라씩 같은 규범을 가지게 되면 세계시장의 기준이 되어버리는 규범이 되는 것이다. 저자는 미국과 관련해서는 새로 도입되는 금융시스템과 경영트렌드 기사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한다. .. 2022. 12. 28.
기름유출과 선박회사가 관련이 생길때: 1일1글쓰기-2022.12.27. 제7장 국제기사 보는 법 국제사건도 국내산업에 미칠 여파를 생각하라 저자는 2002년 11월 20일 스페인 해안 에서 두 동강난 바하마 선적의 유조선 프레스티지호의 기름유출 사건에 대한 내용을 이야기 한다. 키워드로 본 핵심 유조선 기름유출사건 홀겹 유조선 퇴출 움직임 선박 수주 물량 확대 2002년 11월 21일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21121008004 “”기름 1만t 유출… 죽음의 바다””/스페인등 유럽각국 초비상 “”유조선 운항규제 강화를 14일 태풍으로 선체에 균열이 생겨 스페인 북서부 갈리시아 근해에서 좌초됐던 바하마 선적의 4만 2000t급 유조선 프레스티지호가 19일 두동강난 채 수심 3500m의 해저로 침몰,최악의 환경재앙이.. 2022. 12. 27.
300x250